2014년 6월 16일 월요일

올드보이 (박찬욱, 2003)

1.

 녹음기의 릴이 돌아간다. 테잎은, 오른편 릴로부터 완전히 벗아나고, 헤드를 지나, 모조리 외편 릴에 감기게 된다. '몬스터'는 어떻게 된 걸까. 사라져 버린걸까, 아니면, 무의식의 영역으로 걸어들어간 걸까.

 어찌되었건, 오대수가 끝까지 도덕적이었다는 것, 근친상간의 금기를 꺨 수 없었다는 것, 그 것만은 확실하다.

 '몬스터'와 '오대수', 무의식과 초자아, 오대수의 그 '웃음'은, 그 사이에서 고통받는, 모든 문명인의 표정이 아닐까.

2.

 누나의 자살과 사설감옥에서의 감금,  이우진의 고통과 오대수의 고통,둘다 (궁극적으로는) 타인에 의한 것이다.

 이후, 그들은 타인과 관계맺기를 꺼리고, 복수를 (시작)한다.

 그럼에도, 그들은 말한다, 외로웠다고, 외롭다고.

3.

 이우진의 펜트하우스와 오대수의 설산.
 투신을 통해 자살하는, 남자와 이우진의 누나.
 하강하는 승강기에서, 오르가슴을 느끼는 오대수와 잃어버린 사랑의 대상을 생각하며 권총자살하는 이우진.

 올드보이에서의 상(승)과 하(강)에, 문명과 원초적 욕망이라는 도식을 대입하는 건, 너무 지나친 일일까.

4.

 설국열차와 올드보이, 두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겹친다.
 어쩌면, 설산 정상의 오대수와 미도 (또는, 문명과 금기에 다시금 갇혀버리는 인간)는, 설산 아래 유나-티미의 미래 일지도.

댓글 없음:

댓글 쓰기